“하이브리드가 무조건 이득?” 이 차만큼은 가솔린 사라는 이유

관련 기사

아우디 A6 e-트론 공개, 프리미엄 전기 세단 시장 격돌

아우디, A6 e-트론 출시 공식화최대 631km 주행거리, 강력한 성능...

토레스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SUV 시장 본격 도전

KGM, 브랜드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고연비·합리적 가격으로 시장 경쟁력...

KGM 무쏘 EV 가격 논란… “사업자 혜택 없으면 부담되는 수준”

무쏘 EV 가격 공개 후 반응 엇갈려픽업트럭 시장에서 경쟁력...

BMW, 쿠페형 전기 SUV 국내 상륙… “벤츠 대항마 될까?”

BMW, 전기 쿠페형 SUV 뉴 iX2 출시스포티한 디자인과 최신...

GMC, 픽업트럭 시장 강타… 2025년형 시에라 드날리 출시

25주년 기념 모델, 럭셔리와 퍼포먼스 강화6.2L V8 엔진 탑재,...
연비 때문에 사는데.. 하이브리드가 손해라고?
아반떼 하이브리드, 본전 뽑으려면 몇 년?
가솔린 vs 하이브리드,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
출처 : 현대차

최근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구매할 때 가솔린 모델보다 하이브리드 모델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연비가 뛰어나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하이브리드 차량이 가솔린보다 경제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

특히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오히려 손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솔린 모델과 비교했을 때 연비 차이가 미미해 하이브리드 특유의 경제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다.

아반떼 하이브리드, 본전 뽑으려면 몇 년?

출처 : reddit

아반떼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공인연비는 각각 15.0km/L와 21.1km/L이다. 단순 수치만 보면 하이브리드가 확실히 연비가 더 좋다. 하지만 실제 주행 환경에서는 연비 차이가 크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고속도로 실주행 연비를 기준으로 보면 가솔린 모델이 약 20~21km/L, 하이브리드 모델이 25km/L 정도를 기록한다. 이 경우 실질적인 차이는 약 4~5km/L에 불과하다. 하이브리드 모델이 연비가 조금 더 좋긴 하지만, 연료비 차이가 크지 않아 장기적인 유지비 절감 효과는 기대보다 낮다는 분석이다.

구매 가격도 고려해야 한다. 아반떼 가솔린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가격 차이는 기본 트림 기준 약 500만 원 정도다. 만약 연간 2만km를 주행한다고 가정하면, 연료비 차이로 인해 본전을 뽑으려면 약 7~8년이 걸린다.

게다가 하이브리드 모델은 배터리 관리 비용이 추가될 가능성이 있어, 7~8년 이상 타야 경제성이 확보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유지비 절감 효과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솔린 vs 하이브리드, 어떤 선택이 더 나을까?

아반떼는 오랜 기간 가성비 모델로 자리 잡아 왔다. 현대차의 준중형 세단 중에서도 가장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며, 가격 대비 뛰어난 상품성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었다. 하지만 최근 모델에서는 가격이 3,000만 원을 넘어서며 가성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하이브리드 모델을 구매하는 것이 무조건 손해라고 볼 수는 없다. 취득세 감면, 공영주차장 할인 등의 혜택이 제공되며, 장거리 주행이 많을 경우 연비 차이가 더욱 부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이브리드라는 이유만으로 무조건 선택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특히 아반떼처럼 가솔린 모델 자체의 연비가 좋은 경우, 단순한 연료비 절감 효과만을 기대하기 어렵다.

결국 아반떼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라면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특성을 신중히 비교해야 한다. 단순히 주변의 의견이나 하이브리드라는 이유만으로 선택하기보다는 자신의 운행 패턴과 유지비를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