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비방하면 신고하라?”.. ‘10억 포상금’ 선언에 시장 충격

관련 기사

아우디 A6 e-트론 공개, 프리미엄 전기 세단 시장 격돌

아우디, A6 e-트론 출시 공식화최대 631km 주행거리, 강력한 성능...

토레스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 SUV 시장 본격 도전

KGM, 브랜드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고연비·합리적 가격으로 시장 경쟁력...

KGM 무쏘 EV 가격 논란… “사업자 혜택 없으면 부담되는 수준”

무쏘 EV 가격 공개 후 반응 엇갈려픽업트럭 시장에서 경쟁력...

BMW, 쿠페형 전기 SUV 국내 상륙… “벤츠 대항마 될까?”

BMW, 전기 쿠페형 SUV 뉴 iX2 출시스포티한 디자인과 최신...

GMC, 픽업트럭 시장 강타… 2025년형 시에라 드날리 출시

25주년 기념 모델, 럭셔리와 퍼포먼스 강화6.2L V8 엔진 탑재,...
BYD, 악성 루머 제보 시 최대 10억 원 지급
허위 사실 유포 강력 대응, 브랜드 보호 조치 강화
고객 불만도 묵살될 가능성? 논란 커지는 포상금 정책
출처 : 레딧

BYD가 기업 비방 및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한 대응 강화를 선언하며 최대 10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BYD가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퍼지는 악성 루머와 흑색선전에 강경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정당한 비판도 막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브랜드 보호를 위한 조치인지, 아니면 소비자 의견을 차단하려는 의도인지 논란이 되고 있다.

BYD, 최대 10억 포상금 정책 발표

출처 : Reddit

BYD는 지난 21일,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허위 사실 유포와 기업 비방 행위에 대한 포상금 정책을 공개했다.

BYD 측은 이번 조치가 브랜드 명예 보호를 위한 것이며, 허위 정보로 인해 기업이 피해를 입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비방 행위 및 허위 정보 유포자를 특정하고 제보하는 사람에게 최대 10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

이 포상금은 최대 8명의 제보자에게 지급될 예정이며, 주요 공로자에게는 2억 원, 나머지 제보자에게는 200만~2,000만 원 수준의 보상이 제공될 것이라고 BYD는 덧붙였다.

모든 비판이 허위 비방일까?

출처 : Reddit

하지만 BYD를 향한 모든 부정적인 의견이 단순한 흑색선전이라고 볼 수는 없다. BYD 차량의 품질 논란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으며, 일부 모델에서 녹 발생, 송풍구 내 백색 가루 문제, 소프트웨어 오류 등과 관련된 고객 불만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일례로, 일부 차량에서 라디오가 임의로 켜지거나, 주행 중 음성 안내가 출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불만이 잇따랐다. 특히, BYD 차량의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BYD는 최근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 눈(God’s Eye)’을 적용하며 딥시크(DeepSeek)와 협력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중국산 전기차의 보안 문제와 관련해 여러 차례 의혹이 제기된 바 있어, 소비자들은 이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소비자 의견까지 묵살될까?

BYD의 이번 포상금 정책이 단순한 흑색선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정당한 소비자 의견까지 억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막대한 포상금이 걸린 만큼, 정상적인 소비자 리뷰나 비판적 의견까지도 ‘비방’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일부 소비자들은 “소비자 보호보다 기업 보호가 먼저인가”, “정당한 문제 제기까지 막히면 결국 피해는 소비자가 본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불안을 나타내고 있다.

BYD, 브랜드 보호와 신뢰 회복 사이에서

BYD는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공격적인 마케팅과 기술 개발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포상금 정책이 브랜드 보호를 넘어 소비자 신뢰를 저해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의 명예 보호와 소비자의 알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BYD가 이번 정책을 어떤 방식으로 운용할지, 그리고 소비자들의 우려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